2012. 8. 9.

삶을 가꾸는 글쓰기 교육 11

<초롱초롱>

충남 보령군 대천여자중학교 1-2반
지도교사 최교진



*** 3호에는 교통사고로 숨진 한 급우의 소식과 함께 많은 학생들의 추도문이 실려 있다.




* 난숙아 용서해줘


토요일까지만 해도 난숙인 웃으며 우리들과 같이 이야기했다. 그런데 난숙이가 죽다니! 나는 꿈에도 난숙이가 죽었으리라고는 생각을 못했다. 난숙이가 죽고 나니까 나는 난숙이하고 사이가 너무 멀었다는 것이 머리를 스쳐갔다. 난숙이와 웃으면서 이야기를 한 적도 드물고 난숙이와 어울려서 재미있게 놀아본 적도 없었다. 그리고 토요일 날 집에 갈 때 차비가 부족하다고 100원만 빌려달라고 할 때도 돈이 없어서 50원 밖에 못 꿔 줬는데 집에는 어떻게 갔을까?


난 난숙이와 너무 서먹서먹한 사이였어!


난숙이가 살아 있을 적에 조금이라도 더 친하게 지내야 되는 건데! 난숙이가 죽고 나니까 이런 생각이 나다니, 나는 내가 생각해도 너무 나쁜 아이인 것 같다. 난숙아, 나를 용서해 주기 바란다. 난숙아!


- 옥수





* 친구의 죽음


난숙이하고 나는 친한 친구였다. 그리고 난숙이는 일요일이나 토요일마다 자전거를 타고 우리 집에 왔다. 아마 어제도 우리 집에 오다가 그랬는지 모른다. 어제도 자전거 뒤에 동생을 태우고 오다가 난숙이의 동생은 차가 오는 걸 보고 자전거에서 뛰어내렸다고 했다. 난숙이의 오빠 언니, 이렇게 둘이나 죽고 난숙이까지 죽었다. 난숙의 동생 5학년 어린애하고 둘뿐이 남았다. 나는 난숙이의 시체를 보았다. 난숙이의 몸에는 피가 많이 묻어 있었다. 옷은 찢어지고, 난숙이는 자전거를 꼭 붙들고 죽었다.


- 성일





*** 5호에는 '우리가 아침마다 선생님에게 보낸 편지 중에서 가려 뽑아 편집을 했다'고 되어 있다.




* 김정란


선생님, 우리 집은 가정 형편이 참 어려워요. 고등학교에 다니는 오빠가 둘 있고, 중학교 하나, 국민학교 하나에요. 고등학교에 다니는 오빠가 연달아 둘이나 있으니 저는 아직 2기분 수업료도 내지 못했어요. 저도 어머니를 졸라서 울고불고 해서 가지고 오는 것은 싫어요.


어머니께서 주시기를 기다리는 거지요. 저도 월요일이면 2기분 수업료를 내지요. 공부 시간에 서무과로 불려 다니는 것이 얼마나 창피한지 모르겠어요.


선생님, 가난한 것이 죄가 될 수 있나요? 나는 가난한 것이 죄가 될 수 없다고 생각해요.


그러고요, 선생님, 우리 반 학급 신문을 이렇게 만들었으면 좋겠어요. 이 생각은 저만의 생각이어요. 무엇이냐면요. 1-3호까지는 글씨를 잘 쓰는 아이들만 만들었지만, 4호부터는 전체가 글씨 쓰는 것은 1-10까지 하고, 다음 신문을 만들 때에는 11-21번까지. 이렇게 해서 만들었으면 좋겠어요. 이것은 저만의 생각이예요. 꼭 이렇게 하라는 것은 아니예요.






* 이름 안 적힘



나는 김경숙을 효행자로 뽑겠읍니다. 그 이유는 경숙이는 집에 가서 엄마가 시키지도 않는데 짠지도 담고 밥도 한답니다.



* 김태미



선생님, 저는 언제 학교를 그만둘지 모르는 그런 아슬아슬한 처지에 있는 제 짝을 위하여 어땋게 해야 할지 답답할 뿐입니다. 정말로 불쌍하고 가엾은 내 짝을 볼 때마다 "저런 아이가 내 주변에는 수 없이 많은데 나는 이렇게 편하게 공부하고 있으니 정말로 부모님의 고마움을 잊어서는 안 되겠구나"하는 생각이 들곤 합니다.




***



"선생님, 가난한 것이 죄가 될 수 있나요? 나는 가난한 것이 죄가 될 수 없다고 생각해요."




이 말이 내 마음에 오래 남았다.

그렇다. 가난이 죄가 되거나, 부끄러운 것일 수는 없다. 그렇지 않은가? 나는 예전에 학교에서 수업을 할 때 이른바 사람들이 천하다고 여기는 직업을 가지신 부모님을 부끄러워 하는 학생들에게 이렇게 말해주곤 했다. "그래, 그렇게 느낄 수도 있을 거야. 그게 술집을 하시는 것이건, 쓰레기를 치우는 일이건, 혹은 분뇨를 수거하는 분이건. 하지만, 나는 오히려 그래서, 그리고 그러기 때문이야말로. 네가 다른 사람들의 눈으로 부모님을 바라보고 그분들을 부끄러워 할 것이 아니라, 그분들이 너와 가족을 위해서 얼마나 힘들게 그리고 성실히 일을 하시는가를 생각하고, 네가 오히려 그분들을 자랑스럽게 생각해야 할 거다"라고. 물론 나의 말이 학생들에게 어떤 반향을 일으켰는지 나는 모른다. 그러나 적어도 이 말을 듣고 이른바 '세상사람들의 이목'이란 것이 얼마나 부당하고 폭력적인 것인지를, 그리고 무엇을 부끄러워 하고 무엇을 자랑스러워 해야 하는지를 한 번이라도 생각해보는 계기가 되었다면 나는 그것으로 만족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