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5. 28.

[강연] 미셸 푸코가 말하는 규율적 사회



 
 

푸코 - 고고학과 계보학

 




미셸 푸코(Michel Foucault, 1926-1984)
- Judith Revel, Le Vocabulaire de Foucault, Ellipses, 2002.
    
 
* 고고학(考古學, Archéologie)
 
 
1. ‘고고학이라는 용어는 푸코 저작의 제명에 세 번 등장한다. 1963년의 임상의학의 탄생. 의학적 시선에 대한 하나의 고고학, 1966년의 말과 사물. 인간과학들에 대한 하나의 고고학, 1969년의 지식의 고고학이 그것들로서, 이 용어는 1970년대 초까지 철학 연구의 방법론을 특징짓는다. 하나의 고고학은, 어떤 역사적 장의 재구축이 문제일 경우, 푸코가 주어진 특정 시대의 일반적 지식 담론의 출현 조건을 얻기 위해 (철학적, 경제적, 과학적, 정치적 등) 다양한 차원을 실제로 작동시킨다는 점에서, 어떤 역사’(histoire)가 아니다. 진화의 관점에서 관념의 역사를 연구하는 대신, 따라서 푸코는 어떤 특정 시기에 출현한 새로운 대상의 구성으로부터 다양한 국지적 지식들이 결정되는 방식, 나아가 이러한 지식들이 자신들 사이에 대응되고 또 수평적인 방식으로 하나의 정합적인 인식론적 배치를 그려내는 방식을 기술하기 위해 정확한 역사적 절단들(découpages), 특히 고전주의와 19세기 초 사이의 절단에 집중한다.
 
 
2. 고고학이라는 용어가, 그것이 다양한 지식들이 단순히 그 변양들로 간주되는 어떤 진실한 인식론적 구조를 작동시켰다는 점에서, 의심의 여지없이 푸코와 구조주의적 경향 사이의 동일시를 초래했다면, 이 용어에 대한 푸코의 해석은 사실 이와는 전혀 다른 것이다. 말과 사물의 부제가 잘 드러내 보여주고 있는 것처럼, 관건은 인간과학에 대한 고고학 자체가 아닌 하나의 고고학을 수행하는 것이다. 고고학의 관건은 다양한 담론적 사건들 곧 국지적 지식들을 권력에 연결시키는 메커니즘에 대한 (일반적인 계열적 기술이라기보다는) 수평적 단절에 관련된다. 이러한 연결은 물론 전적으로 역사적인 것으로, 특정한 탄생일을 갖는다. 또한 이 경우 목표는 전적으로 바닷가에 그려진 모래 얼굴처럼”(말과 사물) 그 사라짐의 조건에로 겨냥되어 있다.
    
 
3. ‘고고학’(archéologie)라는 말에서 우리는 동시에 아르케(archè), 곧 시작, 원리, 인식대상의 출현이라는 관념 및 아카이브(archive) 곧 이러한 대상의 기록이라는 관념을 다시 발견한다. 그러나 아카이브가 과거의 죽어버린 흔적이 아닌 것과 마찬가지로, 고고학이 실제로 겨냥하는 것은 현재이다. “만약 내가 이런 일을 한다면, 이는 오늘의 우리가 무엇인가를 알고자 하는 목적에서입니다.”(권력에 대한 대화(1978)) 지식의 대상들이 갖는 역사성의 문제를 제기한다는 것은 실은 주어진 특정 담론성(discursivité)의 체제 그리고 특정 권력의 배치에 대한 우리 자신의 동시적 귀속을 문제 삼는 작업이다. 1970년대 초에 있었던 계보학개념에 의한 고고학이라는 용어의 포기는 우리 자신의 담론 체제가 갖는 역사적 결정 작용에 대한 (현재를 향해 있는) 수직적(verticale) 분석에 의해 담론성의 수평적’(horizontale) 독해를 이중화해야 할 필요성을 강조하게 될 것이다.
    
 
 
* 르네상스 이후 현재(1966?)까지의 서구 앎의 인식론적 단절
 
르네상스
고전주의
근대
현대?
16세기
~17세기중반
17세기 중반
~18세기말
18세기말/
19세기 초부터~
니체? 프로이트? 소쉬르? 레비스트로스? 푸코?
유사성 類似性
ressemblance/
resemblance
재현작용 再現
(=표상작용 表象)
représentation/
representation
역사 歷史
(=인간人間
=경험적초월적
이중체)
histoire/history
언어 작용?
langage/
language
-
존 레이(John Ray, 1627-1705)
자연/
博物學(=自然史)
histoire naturelle
조르주 퀴비에(Georges Cuvier, 1769-1832)
생명/
生物學
biologie
다윈/프로이트?
심리학정신의학?
psychologie
psychanalyse
-
윌리엄 페티 (Sir William Petty, 1623-1687)
/
分析
analyse de la richesse
중농주의
데이비드 리카도(David Ricardo, 1772-1823)
노동/
政治經濟學
économie politique
마르크스/뒤르켐?
사회학?
sociologie
-
 
클로드 랑슬로
(Claude Lancelot, 16151695)
낱말/一般文法
grammaire
générale
포르루아얄
 
프란츠 보프(Franz Bopp, 17911867)
언어/文獻學
philologie
 
소쉬르/
레비스트로스?
문학과 신화분석?
    
 
 
계보학(系譜學, généalogie)
 
 
1. 1966말과 사물의 출간 직후부터, 푸코는 인간과학의 고고학이라는 자신의 기획을 하나의 구조주의적 작품이라기보다는 하나의 니체적 계보학으로 규정한다. 따라서 푸코는 니체에 관한 자신의 텍스트에서 계보학의 개념을 새롭게 정의한다. 계보학은 무한한 목적론 및 관념적 의미화 작용의 초역사적 전개’, 역사적 이야기의 단일성, 기원에 대한 연구에 대립되는 하나의 역사적 탐사이다. 계보학은 반대로 모든 단조로운 목적론의 바깥에 존재하는 사건의 일회성(singularité des événements)’을 추구한다. 따라서 계보학은 다양성과 분산 작용, 사건과과 시작이라는 우연으로부터 작업한다. 어떤 경우에도 계보학은 역사의 연속성을 재확립하기 위해 시간을 거슬러 올라간다고 말하지 않으며, 반대로 각각의 고유성 속에 나타나는 사건들을 복원하고자 노력한다.
    
 
2. 계보학적 접근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떤 단순한 경험주의가 아니다. “그것[계보학]은 또한 평범한 의미의 어떤 실증주의가 아니다. 실제로 계보학은 국지적이고 단절되어 있고 자격을 박탈당했으며 정당화되지 못한 지식을 작동시킨다. 계보학은 이러한 지식을 검열하고 위계를 설정하며 참다운 인식의 이름으로 질서 지워준다고 말하는 단일한 이론적 심급에 반대한다. [...] 따라서 계보학은 보다 주의 깊은 혹은 보다 정확한 과학의 특정 형식에 대한 실증주의적 호소가 아니다. 계보학은 매우 정확한 의미에서 ()과학(antisciences)이다.”(콜레주 드 프랑스 197617일 강의) 계보학적 방법론은 따라서 역사적 지식을 탈주체화하려는, 다시 말해 역사적 지식에 담론의 질서에 반하는 투쟁과 반대의 능력을 부여하려는 하나의 시도이다. 이는 계보학의 임무가 단순히 과거 안에서 고유한 사건의 흔적들을 추적하는데 그치지 않으며, 나아가 오늘 사건의 가능성이라는 질문을 제기하는 것임을 의미한다. “그것[계보학]은 우리를 오늘의 우리로 만든 우발성(偶發性, contingence)으로부터 더 이상 이전과 같지 않을 수 있는 가능성, 더 이상 이전과 같이 존재하고 행동하고 생각하지 않을 수 있는 가능성을 추출해낸다.”(계몽이란 무엇인가?)
    
 
3. 계보학은 (계보학이라는 용어가 채택되기 이전의) 최초의 텍스트들로부터 마지막에 이르기까지 푸코 작업의 일관된 방식을 이해할 수 있게 해준다. 푸코는 실상 계보학의 세 가지 가능한 영역을 지적한 바 있다. 우리 자신을 인식의 주체로 구성하게 해주는 진리와 우리의 관계, 우리 자신을 타인들에 대하여 행동하는 주체로 구성하게 해주는 권력과 우리의 관계, 우리 자신을 윤리적 행위의 주체로 구성하게 해주는 도덕과 우리의 관계라는 세 영역으로 구성된 우리 자신의 역사적 존재론(ontologie historique de nous-mêmes). “이 세 영역 모두는, 조금은 혼돈된 방식이긴 했지만, 광기의 역사에도 존재하고 있었습니다. 나는 진리의 축을 임상의학의 탄생지식의 고고학에서 연구했습니다. 나는 감시와 처벌에서는 권력의 축을, 성의 역사에서는 도덕의 축을 발전시켜 보았습니다.”(윤리의 계보학에 관하여. 진행 중인 작업의 개관)
 
 

leonardo da vinci - paintings






































2015. 5. 9.

조용필


돌아와요 부산항에 1975

 
 
 
釜山港へ帰れ
 
 
 
森昌子 Masako Mori 19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