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 7. 24.
2013. 7. 15.
2의 공화국
미궁이 낳은 미노타우로스
1. 2의 공화국
너와 나, 곧 두 사람이 모여서 일을 한다. 당연히 말을 한다, 대화를 한다. 우리의 거의 모든 개념어들을 만들어낸 19세기 메이지(明治)의 일본 학자들의 번역대로, 대화(對話)란 두 사람이 서로 마주 보고 하는 말이다. 고대 그리스와 라틴 문헌학자였던 니체는 이런 의미에서 dialogue는 둘(dia) + 말(logos)이며, 따라서 대화에 참여하는 세 번째 사람은 필연적으로 대화의 깊이를 방해하게 된다고 말했다. 대화는 근본적으로 둘이 하는 것이다.
2. 무한의 공화국
그러나 물론 대화는 반드시 참여하는 사람의 숫자가 둘이라야 하는 것은 아니다. 혼자서 하는 대화도 결국은 어떤 생각과 어떤 생각이 하는 대화라는 점에서 결국은 둘이, 아니 셋이, 아니 그 이상의 모든 생각들이 하는 것이다. 이 생각들은 어떤 특정한 사람의 목소리를 가질 수도 있고, 혹은 어떤 알 수 없는 누군가의 목소리를 가질 수도 있으며, 또 혹은 그저 막연한 어떤 이미지의 형태로 나타날 수도 있다. 내 안의 생각들 그리고 이미지들이 만들어내는 대화는 내 안에 존재하는 내가 때로는 알고 또 때로는 알지 못하는 여러 개의 혹은 무한(無限) 가지의 목소리와 이미지가 만들어내는 것이다. 너와 나, 우리는 모두 다중(多重) 인격자들이다.
둘이, 곧 네가 나와 이야기할 때, 우리는 둘이지만, 그 각각은 필연적으로 무한한 인격을 갖는 다중 인격체들이다. 따라서 너와 나의 대화, 곧 마주 보며 말하기는 하나의 무한한 다중 인격과 또 하나의 무한한 다중 인격이 마주 앉아 서로에게 말을 하는 하나의 사태이다. 무한 더하기 무한, 혹은 무한 곱하기 무한은 무한이다. 너와 나의 무한한 인격들, 세계들, 우주들이 만나고 화해하고 충돌할 때 무슨 일이 생길지는 가히 아무도 알 수 없다. 이때 중요한 것은 그 만남의 결과가 결코 우리 둘의 만남 이전에 확정된 어떤 사태가 아니라, 오직 만남과 동시에 그리고 서로에 대해 상관적으로만 탄생한다, 혹은 구성된다는 사실이다.
3. 1의 공화국
결국 무한과 무한의 만남은 하나의 만남인 동시에 무한한 만남이다. 무한한 하나의 만남, 하나의 무한한 만남. 3세기 중국 위(魏)나라의 철학자로 약관 23세에 사망한 왕 필(王弼)은 저 유명한 『노자』(老子) 42장의 ‘길은 하나를 낳고, 하나는 둘을 낳고, 둘은 셋을 낳고, 셋은 만 가지 것을 낳는다’(道生一, 一生二, 二生三, 三生萬物)라는 아리송한 문장을 대략 다음처럼 해설했다. 이름 지을 수 없는 것은 없다, 곧 존재하지 않는다(無). 이 이름 지을 수 없는 것, 이름 없는 것(無名)에 억지로 이름을 지어 이름이 생긴다(有名). 그리하여 그것이 생겨난다, 곧 있다(有). 다시 말하면, 이름 붙일 수 없는 무엇도 결국은 무엇이라 불러야 말을 할 수 있으므로 사람들이 그것에 억지로 이름을 지어 붙이게 되는데, 그것이 길(道)이라는 것이다. 이렇게 길이라는 이름이 생기면, 있는 것(有) 곧 ‘하나’(一)가 생긴 것이고, 이 하나는 원래 이름 붙이기 전의 그 무엇(無)에 억지로 이름을 지어 붙인 것(有)이므로 이제 둘(二)이 생겨난다. 이렇게 둘이 생기면 원래의 그것과 이름 지어진 그것 사이의 관계가 생겨나므로 이제 셋(三)이 생겨난다. 이렇게 셋이 생겨나는 모든 과정을 통해 이 세상의 모든 것(萬物)이 생겨났다.
이는 얼핏 다음처럼 들린다. 가령 내가 누군가를 사랑한다면(혹은 내가 어제 이상한 꿈을 꾸었다면) 언어화되기 이전의 그러한 내 마음 자체(혹은 어제 내가 꾼 꿈의 내용 자체)가 있고, 그 마음(꿈)을 표현하기 위한 언어가 그 다음에 생겨나고, 그에 따라 내 원래의 진심(꿈)과 그 언어 사이의 관계가 또 그 다음에 생겨나고, 그로부터 이 세상의 모든 만물과 관계가 생겨났다. 그러나 과연 그럴까? 그리고 왕필의 해석은 표상된 언어가 원래의 진심을 얼마나 잘 재현(再現, representation)하는가라는 아리스토텔레스적 대응설(correspondence theory of truth)에 입각해 이해되어야 하는가? 그렇지 않다.
이러한 왕 필의 논의는 같은 『노자』의 2장에 나오는 ‘있음과 없음은 서로를 낳는다.’(有無相生)라는 말에 입각해 해석되어야만 한다. 곧 말할 수 없는 것(내 사랑 혹은 어제 내가 꾼 꿈)이 원래 있고 그다음에 이 말할 수 없는 것에 억지로 이름을 지어 붙인 것이 아니라, 이름 없는 것과 이름 있는 것이 서로에 의해 동시에 탄생된다. 사랑을 사랑이라고 인식하고 말하기 전에 이른바 ‘사랑’은 존재하지 않는다. 나는 내가 어제 꾼 그 이상한 꿈의 이미지와 함께 아마도 거의 생리적이라 해야 할 어떤 반응의 총체를 내 육체와 마음속에 간직하고 있다. 그러나 나는 내가 꿈에 대해 말하고자 시도하는 바로 그 순간부터 이상하게도 그 꿈을 결코 ‘있는 그대로’ 말할 수 없으며, 오직 어떤 ‘왜곡된’ 방식으로만 묘사하고 말할 수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그렇다면 언어란 원래 왜곡하는 어떤 것, 처음부터 불완전한 어떤 것일까? 그럴 수도 있으리라. 그러나 노자는 이 이른바 ‘왜곡 현상’을 왜곡으로 보지 않는다. 노자는 이렇게 말한다. 꿈과 꿈에 대한 나의 묘사는 오직 서로에 의해서만 동시적으로 탄생한다. 이른바 ‘원래 있는 그대로의 꿈’과 ‘꿈에 대한 묘사’는 동시에 서로를 낳는다. 말과 사물은 동시에 서로에 의해서만 탄생한다(有無相生). 따라서 꿈을 묘사하는 내 언어가 보여주는 이른바 ‘왜곡 현상’은 왜곡이 아니라 말의, 따라서 사물의 본질이다. 그래서 노자는 같은 책 1장에서 말의 대상(내 사랑의 감정 혹은 꿈)과 말(사랑 혹은 꿈에 대한 나의 묘사)은 둘은 아니라 같은 것인데 사람의 앎으로 나와서만 다른 이름을 갖게 된다, 곧 둘로 인식된다(此兩者同, 出而異名)고 말한다. 결국, 2의 공화국은 1의 공화국이다.
4. 0의 공화국
이는 도올 김용옥의 말처럼 통합의 원리로서의 1이 0으로, 구분의 원리로서의 2가 1로 환원될 수 있음을 말한다. 완벽하게 동일한 흰 벽 위의 특정 지점 a는 같은 벽 위의 어떤 다른 지점과도 구분되지 않는다. 곧 동일성의 원리 혹은 무차별의 원리로서의 0이다. 그러나 그 위에 파리가 앉아 있든 혹은 어떤 물감이 튀어 얼룩이 졌든 이 지점을 다른 모든 지점과 구분시켜주는 어떤 표식(index)이 존재한다면, 이 지점 a는 이제 우리에게 ‘구분 가능한 것’이 된다. 이는 차이와 구분의 원리로서의 1이다. 그리고 이 통합과 구분의 원리로서의 0과 1의 논리는 고대 중국의 음양(陰陽)과 주역(周易)의 효(爻)들로부터 현대의 2바이트 컴퓨터 연산에 이르기까지 우리의 인식을 지배하는 하나의 근본적 틀이다. 1과 2는 문명을 가능케 한 가장 근본적인 인식의 틀이며 그것을 인식하는 방법은 물론 가히 무한하다. 0 곧 공(空)과 마찬가지로 1과 2도 자연수(自然數)가 아니라, 이미 하나의 인식론적 해석을 거친 문명수(文明數)이다. 이른바 자연수가 정말 인간이 저절로 인식하게 되는 자연적인 수라면 말을 모르는 어린이도 모든 숫자를 알아야 할 것이다. 마찬가지로 1에서 무한(∞)까지의 모든 ‘자연적’ 숫자를 모르는 어떤 문명도 존재하지 않아야 할 것이다. 0도, 1도, 2도 자연적인 구분이 아니라, 이미 문명의 인식틀이다. 자연과학은 자연이 아니라, 가령 16세기 이래의 서양인들에 의해 해석된 특정 문명의 자연 개념에 입각한 자연만을 탐구한다. 자연과학은 자연 자체의 구조가 아니라, 자연을 바라보는 인간 관념의 구조를 다루는 것이다. 자연이란 없으며, 오직 ‘특정한 방식으로 해석된 자연’만이 존재한다. 결국 0 곧 없음(無)이란 없으며, 오직 이미 있음(有)만이 존재한다. 없음조차 이미 있음이다. 그러나 노자의 말대로, 있음과 없음이 서로를 동시에 탄생시킨다(有無相生). 없음 없이 있음이 없고, 있음 없이 없음이 없다. 있음과 없음은 2, 곧 둘이 아니라, 하나 곧 1이다. 그것은 실상 구별되지 않는 0이다. 이 ‘말할 수 없는 것’(道)으로부터 ‘모든 것’(萬物)이 태어난다.
5. 이 모든 공화국들
이 모든 공화국들이 말해주는 것은 무엇일까? 그것은 너와 나, 곧 우리 둘이 일했고 말했고 그리하여 어떤 작품이 태어났다는 것은 네가 있고, 그리고 내가 있고, 그리고 그런 너와 내가 만나서 ‘우리’ 작업이 나온 것이 아니라, 사실은 너와의 만남에 의해서만 내가 생겨났고, 너 또한 나와의 만남으로 인해서만 존재할 수 있었으며, 너와 나와 우리와 우리의 작품이 서로서로에 대해 동시적이고 상관적으로만 함께 태어났다는 것, 이 모든 공화국들이 서로가 서로를 함께 낳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프랑스의 철학자 미셸 푸코는 언젠가 이렇게 말했다. “미궁이 미노타우로스를 낳았다, 그 반대가 아니다.” 미노타우로스가 혹은 디달로스가 미궁을 만든 것이 아니다. 개별적 주체인 너와 내가 만나서, 우리를 이루고, 그다음에 이 우리가, 이 작품 혹은 저 작품을 낳은 것이 아니다. 이 작품과 우리와 너와 나는 함께 태어났다. 마치 내 사랑과 사랑에 대한 말들처럼, 마치 꿈과 꿈에 대한 말들처럼, 마치 꿈과 현실처럼, 둘은 둘이 아니라, 어떤 다른 하나이다. 지금 글을 쓰는 이 순간에, 지금 글을 읽는 이 순간에.
Minotaur
Born out of the Labyrinth
Kyoung, Huh
1.
The Republic
of Two
You
and I, shortly two people gather and work. Naturally we talk, we have a
dialogue. As translated by the 19th century scholars of Meiji(明治) Japan who created almost all conceptual terms in modern
Korean language, the word dialogue(對話) means words exchanged between two people facing each other.
In this sense, Friedrich Nietzsche, a classical Greek and Latin philologist,
once stated that the word ‘dialogue’ is a compound of two(dia) and word(logos)
and that therefore, the third person joining any dialogue inevitably prevents
it from gaining profundity. Dialogues are for two people.
2.
The Republic of Infinite
However,
it is not necessary that dialogues, or conversations, should involve only two
people. In fact, since even a conversation by oneself eventually becomes a
conversation between one thought and another, all conversations involve two,
three, and even more participants in the form of thoughts. Each of these thoughts
could bear a voice of a specific individual or an unknown man, or each could
appear as a vague image of some kind. In a sense, conversations are created by
multiple or perhaps infinite(無限) numbers of
both known and sometimes unknown voices and images within. You and I, we all
have multiple(多重) personalities.
When
you and I, we two converse, we are two people; but each one of us unavoidably
has multiple, infinite personalities within. Therefore, the conversation
between you and me, or our talking as facing each other, is a state of one
infinite multiple personalities talking in front of another infinite multiple
personalities. Infinite plus infinite equals infinite; infinite times infinite
equals infinite as well. Surely nobody knows what will happen when our infinite
personalities, the worlds, and the cosmoses meet, reconcile, and collide.
However, what is important here is the fact that the consequence of this
encounter is not a preordained state but an effect born or formed with the
encounter, at the moment, by the interrelation only.
3.
The Republic
of One
In turn, the
encounter of one infinite and another is one encounter, but at the same time,
it is an infinite encounter as well. It is an encounter of infinite one and of
one infinite. Wang Bi(王弼), a 3rd
century Chinese philosopher of the Wei(魏)
Dynasty who died at the early age of 23, interpreted the ambiguous sentence
‘The way begets one, one begets two, two begets three, and three begets all
things’(道生一, 一生二, 二生三, 三生萬物)
from Chapter 42 of the famous book Lao-tzu(老子) as
in the following. Unnamable things are not there, that is, they do not exist(無).
This unnamable, nameless thing(無名) is
forcibly given a name(有名). Thus it is begotten;
it exists(有). In other
words, since even this unnamable something has to be called something eventually
to be called by people at all, people have named it against its nature, and the
name they have given is Tao(道) or
the way. With the name Tao, being(有) or
‘one’(一) is born, and this one begets two(二)
since now there are the original non-being(無)
before it is named and the being(有)
after it is named. Then this two begets three(三), now
as a relationship between the original and the named thing arises. Everything(萬物) in
the world is born through this very process of three being begotten out of
nothing.
At a glance, all
these could be understood in the following way. For instance, when I love
someone (or have dreamed a strange dream at night), first there are my feelings
of love as they are before being verbalized (or the dream just as I have
dreamed it), then from this arise words to express my feelings (or the dream);
then from this emerges a relationship between my original feelings (or the
original dream) and the words describing them, and finally from this all things
and relationships among them are born in this world. Nonetheless, consider. Are
things really so? Should Wang Bi’s interpretation be understood according to
Aristotelian correspondence theory of truth, as how well language represents(再現) the
original feelings? The answer is no.
Wang Bi’s
commentary should be interpreted based on the sentence ‘being and non-being
give birth to one another’(有無相生) from Chapter 2 of Lao-tzu. It is not that the unnamable thing (my feelings or my
dream) exists first and then is forced to be named afterwards; rather, the
unnamed one and the named one are born out of each other at the same time.
So-called ‘love’ does not exist before it is recognized and named love. Again,
going back to my personal experience, I keep this mixture of almost
physiological reactions in my body and mind that I have felt with the bizarre
image of the dream. However, strangely enough, right at the moment I try to
depict the dream ‘as it is,’ I realize that I can never describe it as is but
can only ‘distort’ it one way or another. Then, does this mean that language is
something that distorts, something innately incomplete? Perhaps it is. However,
Lao-tzu does not view this ‘distortion’ to be distorting. According to Lao-tzu,
my dream and my depiction of it are given birth only by one another
simultaneously. The supposed ‘dream as it is’ and ‘the depiction of the dream’
beget each other. Words and things are borne only by one another, only
concurrently(有無相生).
Therefore, the ‘distortion’ phenomenon of language is not a distortion but
rather the nature of words, consequently the nature of things. In this sense,
in Chapter 1 of the same book, Lao-tzu says that a subject of words (my
feelings or the dream) and the words themselves (the description of my feelings
or the dream) are not two things and are really the same; only through human knowledge,
this one and the same thing receives two names and is recognized as two
different things(此兩者同, 出而異名). After all, the
Republic of Two is the Republic of One.
4.
The
Republic of Zero
Following the logic
asserted by Kim Young-Oak, this signifies that One as a principle of unification
and Two as a principle of differentiation can be reverted into Zero and One respectively.
A specific spot a on a perfectly white wall is not distinguished from any other
spot on the wall. However, if there is any index such as a fly or an ink stain
to differentiate this spot from all other spots, the spot can be a ‘distinguishable’
spot. This explains One as a principle of difference and differentiation. These
principles of Zero as unification and One as differentiation are two
fundamental frames that dominate human cognition from ancient Chinese
Ying-Yang(陰陽) through Yaos(爻) of Zhou Yi(周易) to modern 2-byte system of computer operation. One and Two
are the most basic cognitive frames that enable the rise of civilizations, and
there are infinite ways to cognize these frames. Just as Zero or nothing(空) is not, One and Two are not natural numbers(自然數) but are civilized numbers(文明數) already undergone an epistemic comprehension. If so-called
natural numbers are numbers humans naturally comprehend, then even children who
have not yet developed their language ability should be able to understand
number concepts. Likewise, all civilizations without exception should
understand all ‘natural’ numbers from 1 to infinity (∞). Zero, One, and Two are
not natural distinguishments; they are already the frameworks of civilization.
What natural science studies is nature based on the concept of nature
interpreted by Western civilization since the 16th century, not
nature itself. Natural science deals with the structure of human conception of
nature, not the structure of nature itself. There is no such thing as nature as
it is, and the only thing that exists is ‘nature interpreted in a certain way.’
This implies that Zero(無) or non-being
does not exist; it is being(有) that exists.
In a sense, even non-being is already being itself. Nevertheless, as Lao-tzu
teaches, being and non-being beget each other(有無相生). Without non-being being does not exist, and without being
non-being does not exist. Being and non-being are not One but Two. In fact,
they are Zero that cannot be distinguished. From one ‘unnamable something’(道) arise and thrive ‘all things’(萬物) on the earth.
5.
All these Republics
What
do all these Republics suggest? They suggest that you and I, together we have
worked and talked and therefore have created one thing or another; they suggest
that 'our' work is not a mere creation of me being here, you being there and
therefore us being together casually in this way by chance. Rather, they
suggest that our work is in fact a creation possible only by me being here,
only by you being there and therefore only by us being together in this very
particular way. They suggest that you and I, our work, and all the Republics
are born only out of all our relationships, simultaneously and correlatively. A
French philosopher Michel Foucault once said that "the Labyrinth gave
birth to Minotaur, not vice versa." The Labyrinth was not built by
Minotaur or Deadalus. Our work is not created by you and me, nor by us, nor by
our gathering. Our work, you and I, and we all are together born out of the
labyrinth of our relationships. In the end, and from the beginning, two things
are not Two but some other One, just as my feelings of love and the words
describing it are, just as my dream and the words depicting it are, just as
dreams and reality are. Just as we are now, in this moment of writing, and in
this moment of reading.
leibniz - gutenberg project
Gottfried Wilhelm von Leibniz 1646-1716
wiki
http://en.wikipedia.org/wiki/Leibniz
wiki source
http://fr.wikisource.org/wiki/Page:Leibniz_-_Opera_philosophica,_ed._Erdmann,_1840.djvu/38
한국어
http://ko.wikipedia.org/wiki/%EA%B3%A0%ED%8A%B8%ED%94%84%EB%A6%AC%ED%8A%B8_%EB%B9%8C%ED%97%AC%EB%A6%84_%EB%9D%BC%EC%9D%B4%ED%94%84%EB%8B%88%EC%B8%A0
gutenberg
http://www.gutenberg.org/ebooks/search/
galileo
http://galileo.rice.edu/Catalog/NewFiles/leibniz.html
texts
http://www.earlymoderntexts.com/f_leibniz.html
http://www.helsinki.fi/~mroinila/texts.htm
edition
http://www.leibniz-edition.de/
1686. discours de metaphysique
http://www.maat.it/livello2/Leibniz-Discours%20de%20M%C3%A9taphysique.html
1694. De primae philosophiae emendatione, et de notione substantiae
http://documentation.modernsource.daphnet.org/en/Leibniz.html
http://documentation.modernsource.daphnet.org/fr/Leibniz.html
http://fr.wikisource.org/wiki/Syst%C3%A8me_nouveau_de_la_nature
wiki
http://en.wikipedia.org/wiki/Leibniz
wiki source
http://fr.wikisource.org/wiki/Page:Leibniz_-_Opera_philosophica,_ed._Erdmann,_1840.djvu/38
한국어
http://ko.wikipedia.org/wiki/%EA%B3%A0%ED%8A%B8%ED%94%84%EB%A6%AC%ED%8A%B8_%EB%B9%8C%ED%97%AC%EB%A6%84_%EB%9D%BC%EC%9D%B4%ED%94%84%EB%8B%88%EC%B8%A0
gutenberg
http://www.gutenberg.org/ebooks/search/
galileo
http://galileo.rice.edu/Catalog/NewFiles/leibniz.html
texts
http://www.earlymoderntexts.com/f_leibniz.html
http://www.helsinki.fi/~mroinila/texts.htm
edition
http://www.leibniz-edition.de/
1686. discours de metaphysique
http://www.maat.it/livello2/Leibniz-Discours%20de%20M%C3%A9taphysique.html
1694. De primae philosophiae emendatione, et de notione substantiae
http://documentation.modernsource.daphnet.org/en/Leibniz.html
http://documentation.modernsource.daphnet.org/fr/Leibniz.html
Système nouveau de la nature et de la communication des substances, aussi bien que de l’union qu’il y a entre l’âme et le corps, 1695
http://fr.wikisource.org/wiki/Syst%C3%A8me_nouveau_de_la_nature
피드 구독하기:
글 (A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