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 7. 1.

잠언 02

 
 
0. 인간이 타인에게 행할 수 있는 극한의 폭력은 무엇인가? - 그녀의 의사에 반하여, 그녀를 '대신해서' 결정해주는 것이다.
 
 
1. "무지는 논증이 아니다." - 칼 마르크스
 
 
2. 진짜 '무섭도록 효율적인' 권력 테크놀로지의 배제 장치는 자신이 속한 혹은 속하고자 하는 집단의 지배적 담론과 상이한 (혹은 그것과 충돌을 불러일으켜 자신을 곤란한 상황에 빠뜨릴 것 같은) 생각과 느낌들을 처음부터 자신의 몸과 마음 속에서 제거하고, 또 그러한 자기 검열의 연장선상에서, 주변의 모든 타인들에 대해 동일한 검열을 행하고자 하는 의지이다.
 
 
3. 유럽적 보편성의 보편성 문제 - 오늘의 철학은 ‘서양의 시녀’이다. 철학을 서양으로부터 해방시켜야 한다.
 
 
4. 진보란 무엇인가? 일본말이다. ‘진보’를 말하면서 헤르더, 칸트, 헤겔, 마르크스와 달리 사유한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다. 그녀는 자기가 하고 있는 말이 무엇인지 전혀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
 
 
5. 진보란 무엇인가? 이 말은 - 반드시 역사철학적으로가 아니라 - 이 세계 안에 살고 있는 존재들의 말에, 기쁨에, 아픔에 귀를 열어놓는 것이라는 식으로 이해되어야 마땅하다.
 
 
6. ‘역사철학’이 고유명사인 줄 모르는 서구주의자들이 있다. 역사철학이야말로 통치와 지배의 도구이며, 당신의 일상을 학문적 세계에 의해 식민화하는 강력한 도구이다. 역사철학과 진보는 억압의 도구이다.
 
 
7. 우리는 서기 2012년 극동의 대한민국에 사는 것이 아니라, '지금-여기'에서 산다.
 
 
8. 최근 독일과 그에 동의하는 우리 지식인들이 말하는 '성찰적 반성적 근대성'이란 불가능한 프로젝트이다. 인간은 - 인식론적이든 도덕적이든 - 이른바 '반성'이란 것을 할 수 있는 존재일까? 더욱이 '시대정신'은 반성할 시간이 없다. 그는 그저 자신의 내적 필연성을 따라 앞으로 나아가기에도 바쁜 것이다!
 
 
9. 이른바 '근대' 프랑스인들이 우리를 대신해 왕의 목을 잘라준 이후, 모든 개인은 자신에 대한 주권자요 왕이다. 고대로부터 마키아벨리에 이르는 모든 '제왕학' 서적들은 바로 이러한 관점에서 다시 읽혀야 한다.
 
 
10. 나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
 
 
11. 나는 예전에 동양과 서양이 진짜 이 세상에 있는 줄 알았다. 그런데 알고보니 - 실제 세계가 아니라 - 지도 위에 혹은 내 머리 속에 남들이 그어놓은 하나의 금(線)이었다.
 
 
12. 현대 혹은 오늘이 '역사상 가장 타락한 시대'라는 말은 오늘이 '역사의 최정점이자 가장 찬란한 시대'라는 말과 꼭 같은 유치한 자기(시대) 중심주의이다. 오늘은 그저 오늘이고, 다른 어제 혹은 내일과 하나도 다를 것 없는 하루, 시대이다.
 
 
13. 근대로부터 벗어나고 근대를 초극하고 근대를 넘어서려는 태도 자체가 서양적 근대의 일부이다. 서양적 근대는 성공한 쿠데타이자, 스스로에 대해 끊임없이 친위 쿠데타를 수행하는 하나의 성공적 양식이다. 서양적 근대를 감싸 안는, 서양적 근대와는 다른, 보다 큰 게임을 발명하고 실천해야 한다.
 
 
14. 서양적 근대성은 하나의 문화적 에피스테메 혹은 자기의 테크놀로지, 곧 서양의 고유한 문화적 현상으로 읽혀야 한다. 그런 의미에서 서양적 근대성은 철학과 사회학 혹은 정치학만이 아니라, 동시에 문화인류학 혹은 문화정치학의 탐구 대상 영역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우리는 '진리의 정치사'만이 아닌, '진리의 지정학적 문화정치사'를 써야 한다.
 
 
15. “운동은 궁상이 아니다!”
 
 
16. 푸코의 철학적 의미는 이제까지 그저 의학의 영역에 속해 있었을 뿐인 하나의 개념 곧 '정상/비정상'의 쌍을 철학적 논의의 장으로 끌어들인 점이다. 이른바 '정상화'(normalisation)의 개념 앞에서 푸코는 묻는다. 이 '정상'은 어떤 과정을 거쳐 오늘 '정상'의 자리에 등극하게 되었는가? '정상적인, 너무나 정상적인' 사회를 위한 물음.
 
 
17. 모든 집단에는 그 집단이 수용하는 지배 이념(감성) 이외의 이념들(감성들)에 대한 검열 행위가 존재한다. 그 주요한 감시, 배제 및 검열의 방식으로는, 무시, 냉소적 비웃음, 직설적 비판, 그리고 가장 중요한 척도로서 '자기 검열' 등이 있다. 이 태도들이 그 집단이 - 의식적 무의식적으로 - 실천하는 자기의 테크놀로지, 주체화 및 대상화 방식을 구성한다.
 
 
18. “소녀들이여, 야망을 품어라! girls, be ambitious!”
 
 
19. 대문자가 없는 세계. a world without any majuscule.
 
 
20. 모든 콤플렉스의 궁극은 '정상 콤플렉스'다. 내가 정상이 아니며, 사람들과 다르고, 다르게 느끼며, 결국 다른 존재라는 것이다. 정상 콤플렉스는 나도 '보통사람이 되고 싶다'라는 불가능한, 불합리한, 결국 불필요한 콤플렉스이다. '비정상'이란 이 세상에 없으며 오직 '사태에 대한 정상적 반응들'만이 존재함을 깨달아야 한다. 당신은, 그녀처럼, 정상이다.
 
 
21. 이른바 '고백'이란 '남들이 알아서는 안 되는 일'이라고 자기 스스로가 생각하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나는 '고백'하지 않는다. 다만 말할 수 있는 것, 말해도 되는 것을, 그저 내가 말하기로 결정했으므로, 말할 뿐이다.

 
 
22. 푸코는 ‘진리’라는 이름으로 스스로 혹은 타인들에 의해 칭해지는 것이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는 진리 자체’가 아니라, 실상은 ‘이른바 진리라는 명칭으로 칭해지는 무엇인가에 대해 특정 시기의 특정 지역에서 역사적ㆍ문화적으로 설정된 특정한 규칙들에 의해 구성된 하나의 형식’임을 밝힌다. 이른바 ‘진리’는 진리에 대한 하나의 담론, 곧 하나의 진리담론이다.
 
 
 
23. '인간들'이 아니라, 인간의 '성향들'을 나누어야 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 나는 항상 '선한 우리 편'에, 나와는 다른 이들은 '그들' 곧 '악인들' 편에 속한다. '인간들'을 나누는 것은 보통 살인으로 가는 지름길이다.
 
 


24. “젊은이들이 꿈꾸는 혁명은 보통 자신이 주인공이 되는 혁명이다.” - 버트런드 러셀
 
 

25. 때로, 희생자 담론은 가해자 담론보다 더 무섭다. 자신이 정의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26. 어떤 논리가 자신의 죄책감에 들어맞기 때문에 - 때로는 아무런 비판적 관점도 없이 - 그 논리를 받아들이는 수가 있다. 그러나 그것은 심리이지, 논리가 아니다. 심리적인 문제를 심리의 영역에 남겨두고 그 안에서 현실적인 해결책을 강구하는 것이 아니라, 논리와 철학의 문제와 섞어버리고 심리적 안정감을 논리적 혹은 철학적 해결과 동일시하는 것은 오류이다.
 
 

27. 나는 괜히, 시시때때로, 정치적인 저항의 언사를 발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다. 대개 그들은 인식의 깊지 못함(비난이 아니라, 그냥 사실 판단)으로 말미암아, 오래 못 간다(오래 가면 인정해준다).

 
 
28. 모든 것이 정치적이다. 그러나 정치가 모든 것은 아니다.


29. 하버마스의 철학적 중요성 - 인간은 '자신에게 옳은 것으로 느껴지는' 것을 '옳은 것' 곧 '진리'라고 생각하지 않을 도리가 없다. 따라서 철학의 진정한 출발은 바로 이렇게 - 자기가 '정한 것'이 아니라 - 자기에게 '옳은 것으로 느껴져서, 자기가 받아들인' 이른바 '진리'가 각자에게 늘 모두 다르다는 '사실' 위에 기초해야 한다.



30. 모든 것을 도덕적으로 바라보는 자들! - 푸코의 가장 탁월한 정치적 통찰들 중 하나는 그가 개인적 도덕주의와 그 확장 버전으로서의 집단적 음모론을 피할 수 있는 분석의 방법론을 제시했다는 것이다. 도덕으로만 세상을 보는 자들은 자기의 권력 확장을 향한 끔찍한 지배욕구를 보편적 도덕, 인류를 위한 도덕으로 포장하고 있는데, 그중 가장 끔찍한 사실은 그들이 그러한 욕구를 모르고 있다는 것이다(물론 민주주의 사회에서 개인과 집단의 권력 욕구 자체는 정당한 것이다).



31. 자신의 권력욕구를 선의(善意)로 착각하는 사람들이 있다!






 
 
 
 
 
2012년 2-6월.






댓글 없음:

댓글 쓰기